새소식

인기 검색어

Network

원격데스크톱 설정

  • -

윈도우에서 지원하는 원격데스크톱(RDP) 연결 하는 법에 대해 알아보자

 

원격 컴퓨터를 연결하는 방법은 팀뷰어나 크롬원격데스크톱 등 다양한 원격지원 프로그램이 있으나 윈도우에서 자체 지원하는 원격데스크톱(RDP)은 앞서 말한 외부응용프로그램보다 가장 뛰어난 품질과 호환성을 보여준다.

다만 초기 설정 방법이 약간 번거롭기때문에 다음 글을 차례로 따라온다면 쉽게 해결할 수 있을 것이다.

 

장점

  • 높은 호환성 (따로 핫스왑 키를 지정할 필요 없이 단축키 호환, 파일 전송 바로 가능)
  • 외부pc에서 접속시에도 따로 응용프로그램 설치 필요x
  • 모바일 환경(폰, 테블릿)에서도 접속 가능 (별도 앱 설치 필요)

단점

  • 다소 까다로운 초기 설정
  • 약간의 네트워크 지식 필요 (포트포워딩)

 

조건

  • 윈도우 pro 이상일 것
  • 공유기 포트포워딩이 가능 할 것 (다음 설정이 불가능하면 외부에서 접속 불가능)

 

1. 제어판 설정

윈도우 10, 11 모두 동일 (설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)

 

1) 설정 > 시스템 > 원격 데스크톱 >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

단축키 (Win + Pause Break)

 

윈도우 10
윈도우 11

 

2) 제어판 > 시스템 및 보안 > Windows Defender 방화벽 > Windows 방화벽에서 앱 허용 > 원격 데스크톱 체크

실행(Win + R) > firewall.cpl

 

 

3) 제어판 > 네트워크 및 인터넷 >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> 고급 공유설정 변경 > 네트워크 검색 켜기

 

 

2. 공유기 설정

제어판 설정을 완료하였다면 동일 네트워크 안에서는 내부 ip 주소를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.

하지만 외부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하기에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이라는 작업을 통해 외부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.

※ iptime 제품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나 타사 제품도 명칭만 조금 다를 뿐 설정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.

 

1) 공유기 관리 페이지 로그인

웹 브라우저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. (보통 192.168.0.1)

iptime 공유기 관리 페이지

 

2) 관리 도구 접속

고급 설정 > NAT/라우터 관리 > 포트포워드 설정

3) 포트포워딩 설정 후 저장

  • 규칙이름 (추후 식별 가능하도록 입력)
  • 내부IP 주소 > 현재 접속된 IP주소
  • 프로토콜 > TCP
  • 외부 포트 : (사용하지 않는 포트 중 원하는 포트 입력)
  • 내부 포트 : 3389 (RDP 기본포트)

※ 외부 포트를 내부 포트와 동일하게 3389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기존 설정과 포트번호가 충돌할 수도 있고 기본포트는 보안상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때문에 외부포트는 가급적 다른 포트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.

 

 

3. 원격 접속

위 공유기 설정까지 완료되었다면 이제 외부에서 원격접속이 가능하다!

※ 당연한 말이지만 원격 접속시에는 PC가 반드시 켜져 있어야한다.

 

 

1) 검색 >  원격 데스크톱 연결

 

2) 접속 주소 입력

접속 주소란에 공인IP 와 설정해둔 외부포트를 ":(콜론)" 으로 이어 입력.

※ 공인아이피는 다음 주소에서 확인 가능하다. ( https://www.myip.com/ )

 

"공인아이피:외부포트" 형식으로 입력

 
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